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른나라 인사법과 전통음식 등 다른 나라 문화 알아보기


초등학교 2학년들은 요즘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 공부하는 것 같습니다. 최근 숙제가 한 나라를 정하여 그 나라의 문화를 알아보는 것입니다.


다양한 가족 > 다른나라 문화 알아보기


내가 알아보고 싶은 나라의 문화를 조사하여 봅시다.


한 나라를 정하여 그 나라의 전통음식, 인사방법과 인사말, 전통가옥과 주거생활, 전통의상 그리고 조사하면서 느낀점을 적어 오는게 숙제입니다.



옛날 같으면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백과사전이나 관련 도서를 찾아서 했겠지만 요즘은 네이버나 다음 등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만 해도 많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숙제하기 쉽죠. 하지만 아들은 그래도 어렵다고 합니다.



구글에서는 traditional food(전통음식)으로만 검색하더라도 여러나라의 전통음식을 이미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google.co.kr/search?q=traditional+food&newwindow=1&espv=2&tbm=isch&tbo=u&source=univ&sa=X&ei=_wGbU5aTAcf28QW-hYKICA&ved=0CCkQ7Ak&biw=1600&bih=775#newwindow=1&q=traditional+food&tbm=isch&tbs=sur:fc





저는 가까운 일본의 문화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일본의 전통음식


今半のすきやき2
今半のすきやき2 by ajari 저작자 표시


스끼야끼(すきやき) / 스키야키

테이블위에 놓여진 전용의 철냄비 안에 얇게 여민 쇠고기를 여러가지 야채나 두부와 함께 약간 달게 간을 한 전골요리.

쇠고기나 닭고기 등의 육류를 두부·파 등의 야채와 함께 먹는 전골 요리, 국물을 조금씩 부어 끓이면서 먹는 냄비요리.


스끼야끼 (すきやき) 유래

스키야키(すきやき)라는 말은 일본의 에도시대(1603~1867)부터 나타나는 말로서 에도시대 이전에는 일본에는 없었던 요리라고 한다.

 

스키야키 의 어원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유래 1) "스키"라는 말은 한자로 "鋤"라고 쓰며 농기구의 철로된 부분을 말합니다. 흔히 쟁기라고 하는 농기구의 철 부분을 말하며 이 부분을 불에 올려놓고 고기를 구워먹었다고 하여  스키야키라는 말이 생겨났다고 한다.

유래 2) 고기를 얇게 썰어서 만들기 때문에 "스키미すきみ" 라는 얇은 고기라는 말에서 스키야키가 나왔다는 설

유래 3) 일본 전통 요리인" 杉やき(すぎやき)"에서 유래했다는 속설.




Ozoni
Ozoni by David Z.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오조니(お雑煮)

오조니는 일본에서 새해에 먹는 음식으로 지방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오사카나 교토 지방은 미소(된장)로 끓이지만 동경을 중심으로 한 관동지역에서는 간장으로 간을 낸다고 합니다.

우리가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일본에서도 설날에 오조니(お雑煮)를 먹고 한 살 더 먹는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오조니를 먹는 풍습은 14세기 무로마치시대로부터 시작되었는다는 설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그외에도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덴푸라

덴푸라 새우, 오징어, 생선등의 어패류나 여러가지 야채등을 밀가루에 입혀서 기름에 튀긴 요리.


스시(초밥)

스시 식초등으로 간을 한 밥을 작게 주물러 한입 크기로 썬 신선한 어패류(참치, 새우, 오징어 등)나 달게 맛을 들여 두껍게 말은 계란말이 등을 얹어서 만든 것을 니기리스시(握りすし)라고 한다. 또한 오이나 절인 야채등을 중심부에 놓고 말아 만든 김밥을 마키즈시(眷きずし)라고 합니다.


사시미(회)

사시미 한입 크기로 썰은 신선한 어패류를 와사비를 넣은 간장에 찍어 먹습니다.


야키도리

야키도리 닭이나 닭의 껍질, 혹은 닭의 내장을 꼬치에 꽂아 달고 짭짤한 소스나 소금으로 간을 해 불에 구어내는 음식으로 야키도리와 함께 야채나 버섯을 꽂은 것도 있습니다.


샤부샤부

샤부샤부 아주 얇게 썰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여러가지 야채나 두부등과 함께 끓는 물속에서 살짝 익혀 먹는다고 ㅎ바니다.


면류(소바, 우동, 라면)

면류(소바, 우동, 라면) 서민에게 사랑받는 요리로 스프속에 넣어서 끓이기도 하고 차가운 스프에 담궈서 먹기도 합니다.

 



일본의 인사방법과 인사말


일본도 영어권과 같이 아침, 점심, 저녁 인사가 다르다고 합니다.


아침 인사: 오하요- おはよう (お早う)

일본에서 아침에 하는 인사말입니다.

뜻은 "빨리 일어났구나?", "아침 일찍 보는구나?" 입니다.

존댓말은 오하요 고자이마스(おはようございます)라고합니다.


낮 인사: 곤니찌와 こんにちは (今日は)

낮에 하는 인사말로 의미는 "오늘은 (어떠니)? / 오늘 (괜찮니)?" 입니다.


저녁 인사: 곰방와 こんばんは (今晩は)

저녁에 하는 인사말로 의미는 "오늘 저녁은 괜찮니?",  "저녁은 별 일 없니?" 입니다.


헤어질 때: 사요나라 さよなら, さようなら (左様なら)

안녕히라는 뜻으로 헤어질 때 쓰는 인사입니다.

이별의 느낌이 있어 일반적인 인사로는 많이 쓰지 않습

잠깐 헤어질 때는 마따네またね(또 보자) 또는 쟈네じゃね(그럼 이만)등을 씁니다.


잘 때: 오야스미 おやすみ (お休み)

"휴식"이라는 의미입니다.

"상대방에게 잘 쉬라"는 뜻으로 밤에 자기 전에 쓰는 인사입니다.

동료들과 밤 늦게 놀고 각자의 집으로 들어가는 길에도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처음 만났을 때: 하지메마시떼 はじめまして (始めまして)

처음 만났을 때 하지메마시떼라고 합니다.

"처음 뵙겠습니다"라는 뜻의 인사말입니다.



그외에 인사말과 같이 자주 쓰이는 말로는


부탁할 때: 오네가이시마스 おねがいします (お願いします)

"부탁드립니다"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에게 무엇인가 부탁할 때 이 말을 사용합니다.


실례를 범할 때: 시츠레이시마스 しつれいします (失礼します)

시츠레이시마스는 "실례합니다"의 뜻이 됩니다.

길을 비켜달라고 할 때나 길을 물어볼 때 사용합니다.


미안할 때: 스미마센 すみません (済みません)

"죄송합니다"의 뜻입니다.

길을 물어볼 때, 잘못을 했을 때, 실수를 했을 때, 뭔가를 부탁할 때 등 여러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용서를 구할 때: 고멘나사이 ごめんなさい

"용서해달라"는 표현입니다.



일본의 전통가옥과 주거생활


일본은 고온다습한 기후적 특성을 고려해서 개방적인 주택 구조를 가진 여름형 주택을 기본으로 하여 주거 생활을 한다. 창문을 많이 만들고 지붕을 높게 만들어 통풍성의 향상을 주로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추운 겨울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하지만 비교적 온난한 기후를 보이는 일본에서는 겨울철보다는 여름철의 온도와 습도 조절을 더 중시하였다. 또한 지진이 잦기 때문에 높은 건물이나 철근 구조보다는 목조 구조로 지어진 건물들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목조 구조는 화재와 소음에는 취약한데 한 예로 1995년 발생한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의 인명 피해자 절반이 목조 건물에서 일어난 화재로 인해 발생한 것이었다.

전통적인 일본 가옥은 좌식 생활 형태로 왕골이나 부들로 만든 돗자리인 다타미를 바닥재로 사용하며 다타미의 단위인 첩(疊)은 방의 넓이를 재는 지표이기도 하였다. 또한, 전통 가옥은 마루를 통하기 보다 방과 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방과 방은 벽이 아닌 쇼지나 후스마라는 문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쇼지와 후스마를 떼면 하나로 연결되므로 서양식 가옥과는 달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었다



출처: https://www.google.co.kr/search?q=traditional+house+in+japan&newwindow=1&espv=2&tbm=isch&tbo=u&source=univ&sa=X&ei=J3-bU8iZGMrd8AXerYGQCw&ved=0CCkQ7Ak&biw=1210&bih=709#newwindow=1&q=traditional+house+in+japan&tbas=0&tbm=isch&tbs=sur:fc



일본의 전통의상


한국의 한복처럼 일본의 전통의상하면 기모노가 유명합니다.


기모노는 길고 넓은 소매가 달려있고 깃이 있는 일직선으로 된 T자 형의 겉옷으로 되어 있다. 남녀 모두가 기모노를 입기 때문에 옷단은 발목까지 내려간다. 기모노는 몸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시신을 매장할 때를 제외하고 항상 왼쪽 부분이 오른쪽 부분을 여미도록 입어야 하며, 오비라고 부르는 넓은 허리띠를 두른 후 등 뒤로 묶어 옷을 고정한다. 기모노를 입을 때는 보통 전통 신발 (조리나 게다)과 발가락 부분이 나뉘어 있는 버선 (다비)을 함께 신는다.



여성의 기모노는 나이, 결혼여부, 행사의 격식 수준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고 합니다.


후리소데: 결혼하지 않은 여성이 입는 기모노

도메소데: 결혼한 여성이 입는 기모노이다. 결혼한 여성이 입는 가장 격조 높은 예복.

호몬기: 방문할 때 입는 옷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약식 예복. 결혼 여부나 나이에 상관없이 입을 수 있다.

쓰케사게: 근대에 와서 만들어진 의상

이로무지: 단색의 기모노로, 주로 다도를 할 때 많이 입는다.

고몬: 자잘한 무늬라는 뜻을 가진 기모노로, 옷 전체에 자잘하게 반복되는 무늬가 특징이다. 주로 격식을 차리지 않고 외출할 때 많이 입는 의상.

우치카게: 결혼식에서 신부가 입는 매우 격조 높은 기모노.

모후쿠: 죽은 자에게 예를 갖추는 기모노이다. 무늬가 없는 검은 비단으로 만들며, 다섯 가몬을 제외하면 어떤 무늬도 들어가지 않는다.



출처


http://www.welcometojapan.or.kr/indepth/cultural/food/food_info.html

http://jpen.tistory.com

http://dk119.tistory.com/

http://ko.wikipedia.org/wiki/일본의_문화
http://ko.wikipedia.org/wiki/기모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