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행복한 아이 만들기


학교에서 보내주는 가정통신문에 내가 알아야 할 글이 있어 옮겨 봅니다.


행복한 아이 만들기




행복은 전염성이 강하다고 합니다. 부모가 불만에 가득 차 있고 부정적인 정서를 지니고 있으면서 아이가 행복해지기를 바라는 건 모순입니다. 가족의 분위기와 정서가 아이 마음에 그대로 스며들 테니까요.



1. 안전거리를 두고 지켜보세요.

꽃이나 나무도, 아무리 사랑한다고 하루 종일 옆에 앉아 물만 주면 시들어 버립니다.

사랑할수록 믿고 지켜보는 적당한 안전거리가 필요합니다.


2. 자심감을 키워주세요.

사소한 일에도 용기와 희망을 주어야 합니다. 자심감은 성공으로 가는 특급열차예요.


3.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게 해 주세요.

사회생활을 하는 첫걸음은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는 것입니다. 분위기를 자주 만들어 주세요.


4. 안 되는 것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원한다고 무조건 들어주면 안 됩니다. 안 되는 이유를 다정하게 대론 단호하게 설명해 준다면 아이들도 고개를 끄덕끄덕할 것입니다.


5.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르쳐 주세요.

항상 상대방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세요. 부모님께서 모범이 되셔야 합니다.


6. 자주 안아 주며 사랑한다고 말하세요.

사랑은 수시로 확인하는 것! 한번 사랑한다고 말했다고 그 약효가 영원한 것은 아닙니다.


7. 자기 일은 스스로 혼자 하는 습관을 키워주세요.

청소도 숙제도 다 해주면 아이는 스스로 하는 법을 모르게 됩니다. 서투르더라도 기다려 주고, 혼자 하는 습관을 키워주세요.



화가 난 나의 감정 조절하기




1. 이것이 화 낼만한 일인가?

화가 나면 일단 30초 동안 참습니다.


2. 화를 내면 나만 손해야!

화는 몸에 나쁜 영향을 주어 스스로 건강을 해치는 감정임을 기억하세요.


3. 화야! 빠져 나가라.

눈을 감고 숨을 내쉬면서 화가 빠져나간다고 상상해 보세요.


4. "네가 내 별명을 불러서 화났어"

"너 때문에 화났어"가 아니라 친구의 잘못된 행동에만 화를 내세요.


5. "다시는 그러지 않았으면 좋겠어"

상대방에게 내가 어떻게 하면 화가 풀릴지 말하세요.


6. "그랬었니? 그렇다면 나도 미안해"

양쪽 모두 화가 났다면 둘다 화가 풀리는 방법을 이야기 하고 화해하세요.